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2023.12.26 기록 (firebase hosting)

 

 

파이어 베이스 DB를 만져보며 이것 저것 다루던 도중, 호스팅 기능을 살펴보게 되었다.

 

가장 먼저, 이번에 맡게 된 프로젝트는 총 6개의 페이지를 가진 프로젝트이기에 각 페이지간의 유기적인 활용이 가능하면 싶었다. 로컬환경에서는 무리없이 실행되었기에,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은 프로필 사진 등이 담겨있는 스토리지에 html 파일을 넣어두고 실행하는 방법이었는데, 이 방법을 실행하기 전 호스팅 기능의 권유로 살펴보게 되었다.

 

생각보다 엉뚱한데서 일이 터졌는데, 캐시가 꽉차서 브라우저를 받아오지 못하는 환경과, 경로를 잘못 설정해서 불러오지 못하는 상황이 번갈아가면서 터져서 생각보다 까다로운 설정이었다.

 

 

 

hosting 기능을 설치 후, 겹쳐지는 index파일의 이름을 피하기 위해 e를 하나 더 붙였더니,

이후 public 폴더안에 index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 있었다.

 

 

 

그렇게 되어 경로를 잡아주는 json 파일에 접근해 public 폴더의 범위를 수정하는 것으로  / (슬래쉬)를 넣었다.

 

다른 검색으로는 rewrite 항목을 추가해준다던가, 하는 여러가지 해결방안이 있었는데 이번의 나의 상황은 순전히 경로를 잘못 설정한 실수에서부터 시작을 한 것이기 때문에 외부가 아닌 내부적인 요인으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위의 호스팅 기능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현재 브라우저에서의 유기적인 이동이 가능해졌다.

이제 남은 시간동안 코멘트를 등록, 삭제 하는 기능을 로컬에서 그리고 서버에서 함께 구현하는 일만 남았다.